천간에서 합(合)은 모두 다섯 종 이 있다. 합은 서로 만나서 합이라는 말뜻에 만난다 묶는다 만나서 변한다는 뜻이 들어 있다. 일단 합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甲己合, 乙庚合, 丙辛合, 丁壬合, 戊癸合
갑(甲)이 기(己)를 만나면 합이 되어 묶는다. 기(己)가 갑(甲)을 만나도 묶는다.
갑기합(甲己合)도 되며 기갑합(己甲)합도 된다. 둘 다 합해서 보통 갑기합이라 한다.
을(乙)이 경(庚)을 만나면 합이 되어 묶는다. 경(庚)이 을(乙)을 만나도 묶는다.
을경합(乙庚合)도 되고 경을합(庚乙合)도 된다. 둘 다 합해서 보통 을경합이라 한다.
나머지도 이와 같다. 합이 되면 묶는다고 했는데 묶이면 안 움직인다.. 즉 둘 다 아무 작용을 하지 않는다고 생각하자.
합이 되어 변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갑기합(甲己合) 은 土로 변한다.
을경합(乙庚合) 은 金으로 변한다.
병신합(丙辛合) 은 水로 변한다.
정임합(丁壬合) 은 木으로 변한다.
무계합(戊癸合) 은 火로 변한다.
위와 같이 천간의 합은 모두 다섯 종 이 있고 이 다섯 종이 묶여만 있을 수도 있고 합해서 변할 수도 있다. 합해서 변하는 경우는 조건이 있는데 좀 까다롭다. 지금은 그저 천간합이 다섯종이고 이것을 외워야 한다. 갑기합토, 을경합금. 병신합수. 정임합목. 무계합화 이렇게 외우면 된다.
지지의 합
지지의 합은 좀 많다. 방합 삼합 육합 반합 동합이 있다. 이 지지의 합은 그 힘이 더 강해지는 경우와 다른 성질로 변하는 경우가 있다.
방합
寅卯辰, 巳午未 申酉戌 亥子丑 모두 4종이다. 방합은 계절의 합이며 동시에 한 방향으로 흐른다.
인묘진(1월 2월 3월) 봄이다. 寅辰卯 이렇게 있어도 방합이다. 辰寅卯 이렇게 있어도 방합이다. 결론은 寅卯辰이 세글자가 모두 있으면 방합이다. 이 힘이 크다. 이 중에 한글자라도 빠지면 방합으로 안 본다.. 이 寅卯辰이 모여서 오행 중 목(木)의 기운을 더욱 강하게 만든다. 방위로 보면 목(木)의 방향 즉 동쪽이다. 정리하면
寅卯辰=木=동쪽=봄
다음은 巳午未(4월 5월 6월) 여름이다. 역시 午巳未로 있어도 방합이고 未巳午이렇게 있어도 방합이다. 巳午만 있으면 방합이 아니다. 巳午未가 모여서 오행 중 화(火)의 기운을 더욱 강하게 만든다. 방위로 보면 화(火)의 방향 즉 남쪽이다. 정리하면
巳午未=火=남쪽=여름
다음은 申酉戌(7월 8월 9월) 가을이다. 역시 酉戌申 戌酉申 이렇게 되어 있어도 방합이 성립된다. 申酉戌이 모여서 오행 중 금(金)의 기운을 더욱 강하게 만든다. 방위로 보면 금(金)의 방향 즉 서쪽이다. 정리하면
申酉戌=金=서쪽=가을
다음은 亥子丑(10월 11월 12월) 겨울이다. 역시 子丑亥 또는 丑亥子이렇게 모여 있어도 방합이 된다. 亥子丑이 모여서 오행 중 수(水)의 기운을 더욱 강하게 만든다. 방위로 보면 수(水)의 방향 즉 북쪽이다. 정리하면
亥子丑=水=북쪽=겨울
오행 중 木火金水는 나왔는데 土는? 토는 위에서 보듯이 각 계절의 마지막에 붙어 있다. 즉 계절 끝에 있어서 다음 계절로 그 기운을 전달하고 조율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에 辰戌丑未가 모두 있으면 봄 여름 가을 겨울이 전부 모여 있어서 한 방향이 아니다. 다만 지지가 전부 未 거나 丑이거나 하면 동합으로 본다.
지지의 삼합과 반합
申子辰(水), 亥卯未(木), 寅午戌(火), 巳酉丑(金) 모두 4종이다.
이 삼합은 생왕묘로 구성되어 있는데 생지 왕지 하는 것은 포태법이라 한다. 나중에 다룬다. 일단 각기 다른 세글자가 모여서 한 오행의 기운을 강하게 만든다고 기억하면 된다.
申子辰이 모여서 오행 중 수(水)의 기운을 강하게 만든다. 즉 申子辰이 모이면 수(水)로 변하게 되고 수(水)의 기운을 더욱 강하게 만든다. 여기서 申辰子 이렇게 모여도 삼합이고 子申辰이렇게 모여도 삼합이 된다. 삼합에는 반합이라는 것이 있다. 세글자중 두 글자만 있어도 그 합이 성립되는 것인데 삼합이 완전히 구비된 것보다는 그 힘이 조금 딸린다.
반합은 삼합의 가운데 글자를 포함하여 한 글자가 더 있어야 된다.
申子 반합된다. 子辰 반합된다. 申辰은 반합이 안된다. 다만 성립이 되려면 운에서 가운데 글자 子가 오면 申子辰으로 완전한 삼합이 된다. 다시 말하면 반합은 가운데 글자 즉 子午卯酉를 포함해야 성립되는 것이다.
그러면 이 합을 외 따져보는 걸까? 그 사주의 기운이 강한지 약한지 또는 합이 되어서 글자가 다른 것으로 변질되는지 등을 보는데 이동 변동 이사 사람과의 관계등 사주풀이를 위한 것이다.
亥卯未가 모여서 목(木)의 기운으로 변하고 목의 기운을 더욱 강하게 만든다. 역시 卯未亥가 모여도 삼합이고 亥未卯가 모여도 삼합이 된다. 반합이 되려면 가운데 글자 卯를 포함해서 卯未가 되던지 亥卯가 되어야 한다.
寅午戌이 모여서 화(火)의 기운으로 변하고 화의 기운을 더욱 강하게 만든다. 역시 寅戌午가 모여도 삼합이고 戌午寅 이렇게 모여도 삼합이다. 반합은 가운데 글자 午를 포함해서 午寅 또는 午戌 이렇게 되어야 성립이 된다.
巳酉丑이 모여서 금(金)의 기운으로 변하고 금의 기운을 더욱 강하게 만든다. 역시 酉丑巳가 되어도 삼합이고 丑巳酉가 되어도 삼합이다. 반합은 가운데 글자 酉를 포함해서 酉丑 또는 酉巳 이렇게 되어야 성립이 된다.
지지의 육합
子丑合(土), 寅亥合(木), 卯戌合(火) 辰酉合(金) 巳申合(水) 午未合(火) 모두 6종이 있다.
이 육합은 두 글자가 모두 있어야 성립된다. 두 글자가 붙어 있으면 합이 된다고 보는데 문제는 합을 깨트리거나 중간에 합을 방해하는 경우 합이 안 되는 경우도 있다.
子寅丑 이런 경우 중간에 寅이 있어서 합을 방해하는 경우다. 子는 丑과 합하고 싶은데 가운데 寅이 먼저 있기 때문에 生 즉 水生木을 먼저 해버리고 丑과 합하는 것을 잊어 버리는 경우다. 또 寅이 丑을 木剋土 해버릴수도 있으니 방해가 되는 경우다. 초보는 육합을 그냥 외운다. 방해가 되나 안되나는 다음에 쓰겠다. 처음부터 이런 것 까지 세세하게 하면 흥미가 떨어진다. 이해도가 떨어지는데 어찌 알아듣겠나? 처음 배우는 사람들은 일단 글자부터 익히기를 추천한다.
동합
동합이란 사주에 같은 글자가 붙어 있는 경우를 말한다. 예를 들어 寅寅, 子子 이런식이다. 당연하게 그 힘이 더욱 커진다. 이것은 다음에 쓸 충에 대한 설명인데 金克木에서 쇠가 나무를 극한다고 한다. 申(金)이 寅(木)을 충한다고 하는데 여기서 寅寅이 뭉쳐있으면 申이 충하다가 도리어 자신이 해를 입는 경우다. 동합도 그 힘이 강하고 숫자도 2:1이다.
힘의 크기는 방합>삼합>육합(=동합) 이런 순으로 기억하면 된다.
'사주기초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3-9강 사주의 기초(지장간) (0) | 2023.03.05 |
---|---|
3-8강 사주의 기초(천간 지지의 충) (0) | 2023.03.04 |
3-6강 사주의 기초(만세력과 사주작성 대운수) (0) | 2023.03.01 |
3-5강 사주의 기초(육십갑자와 만세력) (0) | 2023.03.01 |
3-4강 사주의 기초(오행의 상생 상극) (0) | 2023.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