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MALL

사주기초 천간지지 각론10

천간(天干) 계수(癸水) 계수(癸水) 음(陰)의 물(水)이 된다. 빗물 이슬 지하수 적은 물 옹달샘등에 비유를 많이 하게 된다. 많은 숲에 둘러 쌓이게 되면 옹달샘이 되어 주위로 식물이 자라게 되고 동물이 물을 찾아오게 되어 좋은 것처럼 보이나 실상은 자신의 것을 내주게 되지만 작은 물로는 숲 전체를 살릴 수가 없으니 주위에 자신을 이용하려는 세력이 많게 되는 경우가 많다. 주로 사기나 범죄에 이용당하게 되는 것이다. 자신은 한없이 주는데 그 양이 적으니 타인을 도와 주고도 좋은 소리를 못듣는 경우도 많다. 계수는 십간의 맨 끝에 위치하고 있다. 마지막 종착역이 되니 삶을 마감 하려는 사람이 찾게 되고 이러한 특성으로 타인을 위해 희생하는 일에 종사를 많이 하게 되는데 주로 노인 복지 의료 등 사회복지 사업에 활용되는 경우가 많.. 2023. 4. 19.
천간(天干) 임수(壬水) 임수(壬水) 양(陽)의 수(水)다. 바다 강 호수 등에 비유를 많이 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희생이 밑바탕이 된다. 많은 물은 농업용수로 생활용수로 활용이 된다. 적당한 토가 있어서 농업용수로 활용이 되면 주위 사람에게 이익을 가져다주는 사람이 되어 찾는 이도 많아지게 된다. 또한 생활용수로 빨래를 하는 데 사용하기도 하고 수영장 목욕탕등으로 활용되니 자연히 주위에 사람들이 많아지게 된다. 양토(陽土)인 무토(戊土)로써 그 물을 가두어 활용하고 음토(陰土)인 기토(己土)는 기본적으로 무른 흙이 되어 물을 가두지 못해 물만 흐리게 하는 탁임(濁壬)이 된다고 한다. 그러나 기토 또한 그 형상이 튼튼하다면 어찌 임수를 가두지 못하겠는가? 사주를 활용함에 있어서는 융통성을 발휘하여야 한다. 또한 임수는 병화인 태.. 2023. 4. 19.
천간(天干) 신금(辛金) 신금(辛金) 음(陰)의 금(金)이 된다. 보석 바늘 장신구 조각품 등에 비유를 많이 하게 된다. 경금(庚金)과 달리 이미 완성되어 있는 작은 보석이나 바늘을 뜻한다. 완성품은 다른 것과 섞이는 것을 싫어하는데 이는 완성품끼리 섞여 봐야 서로 흠집만 나서 값어치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만큼 독존의 성향이 강하다. 신금(辛金)은 유달리 물을 좋아한다고 한다. 자신 스스로가 보석이므로 물로 씻어내고 햇볕을 받아 반짝거리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스스로 빛이 난다. 같은 빛이라도 병화(丙火)를 좋아하지 정화(丁火)를 좋아하지 않는다. 정화는 신금 자신을 녹일 수 있기 때문인데 만약 양쪽에 정화를 끼고 있으면 그 자신이 괴롭게 되어 감금 구속등의 경우를 당할 수도 있으며 신체적으로 손상이 올 수가 .. 2023. 4. 19.
천간(天干) 경금(庚金) 경금(庚金) 양(陽)의 금(金)이 된다. 보통 큰 쇠뭉치 바위 돌 중장비 무기 등에 비유를 많이 하고는 한다. 금(金)은 숙살지기(肅殺之氣)로 가을을 주관하는데 곡식과 열매를 성숙하게 하기도 하고 초목을 말라죽게도 하는 것이다. 상과 벌이 명확한 관계로 인간미가 약간 떨어진다고 타인에게 평가를 받기도 한다. 쇠는 무기가 된다. 경금(庚金)을 녹여 온갖 중장비 무기 농기구등을 만들게 되니 그 쓰임은 대단하다. 사회에 나아가 건설 건축 토목 중장비 공장 각종기계 등에 활용성이 높으니 이쪽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이 보인다. 더해서 상과 벌이 명확하니 군인 경찰 법조계등에서도 활약이 높아지게 된다. 경금을 단련하려면 불이 필요한데 단단한 금속을 녹여 원하는 기구를 만들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혹 금과 불이 서로.. 2023. 4. 19.
천간(天干) 기토(己土) 기토(己土) 음(陰)의 토(土)에 해당한다. 기본적 비유는 무토와 같으나 농사를 지을 수 있는 논 밭에 비유되고 평야 낮은 구릉등에 비유를 많이 하게 된다. 농사를 지을 수 있는 땅이 되니 사회에서 그 쓰임은 너무도 많게 된다. 하지만 낮은 땅이라 근심 걱정도 많게 되는데 물이 많아서 범람을 하게 되면 애써 지은 농사를 망치게 되고 비가 오지 않아서 물이 없으면 작물은 말라죽게 되니 항상 정신이 불안하게 된다. 이는 회사에서 직장에서 다른 사람과 경쟁에 놓이게 되거나 혹은 주변 사람들로 인하여 자신이 괴롭게 되거나 하는 경우다. 농사가 잘되도 걱정이요 못되도 걱정인 것이니 기본적으로 근심 걱정은 늘 가지게 되며 농사를 지으려면 부지런해야 하니 육체적 정신적으로 힘들게 된다. 적당한 넓이에 수목(水木)이 .. 2023. 4. 19.
천간(天干) 무토(戊土) 무토(戊土) 양의 토(土)에 해당한다. 정의 성실 수용 포용 신용 일거리 높은 산 둑 삶의 터전 무거움 봉사 헌신등으로 비유하고는 한다. 양의 토는 무겁다. 팔자에 무토가 중첩되어 있고 지지 또한 화(火) 토(土)가 많아서 무거우면 첩첩 산중이 되어 고독하게 된다. 만약 갑을목(甲乙木)이 없이 토만 많다면 더욱 심하여 산중에 돌 밖에 없는 형상이 된다. 이는 산은 높고 험준한데 척박한 곳이라 사람이 찾지 않으니 외롭고 고독한 형상이 된다. 토는 많은데 한그루의 甲木 乙木이 있다고 해도 천리길에 쉴곳이 하나뿐이라 외롭기는 마찬가지다. 무토는 계수를 만나면 합이 된다. 무토에 계수의 합이 있는데 방해가 없다면 산중에 비가 온 뒤 안개를 형성하게 되고 무지개가 뜨게 되니 그 색은 아름다우나 일시적인 현상일 뿐.. 2023. 4. 19.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