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 | 丑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
여기 | 壬10 | 癸9 | 戊7 | 甲10 | 乙9 | 戊7 | 丙10 | 丁9 | 戊7 | 庚10 | 辛9 | 戊7 |
중기 | 辛3 | 丙7 | 癸3 | 庚7 | 己9 | 乙3 | 壬7 | 丁3 | 甲7 | |||
정기 | 癸20 | 己18 | 甲16 | 乙20 | 戊18 | 丙16 | 丁11 | 己18 | 庚16 | 辛20 | 戊18 | 壬16 |
지지의 子속에는 천간 壬 癸가 들어있다.
지지의 丑속에는 천간 癸辛己가 들어있다.
지지의 寅속에는 천간 戊丙甲이 들어있다.
지지의 卯속에는 천간 甲 乙이 들어있다.
지지의 辰속에는 천간 乙癸戊가 들어있다.
지지의 巳속에는 천간 戊庚丙이 들어있다.
지지의 午속에는 천간 丙己丁이 들어있다.
지지의 未속에는 천간 丁乙己가 들어있다.
지지의 申중에는 천간 戊壬庚이 들어있다.
지지의 酉중에는 천간 庚 辛이 들어있다.
지지의 戌중에는 천간 辛丁戊가 들어있다.
지지의 亥중에는 천간 戊甲壬이 들어있다.
표에서 여기(餘氣) 중기(中氣) 정기(正氣 본기라고도 한다.)가 있고 또 숫자가 있다. 여기는 말 그대로 남은 기운이라 전 달의 기운이 아직 남아있다고 보는 것이고 중기는 말 그대로 중간의 기운(없는 것도 있다.) 정기는 가장 큰 기운 이라고 생각하자. 고민할 필요는 없다. 그리고 숫자는 한달 30을 기준해서 子를 보면 지장간의 기운 壬이 먼저 10일 동안 영향력을 행사하고 그다음20일을 癸가 영향력을 행사한다고 생각하자.
세세한 이론은 기초를 배우는 분에게 추천하지 않는다. 어찌 되었던 우리는 사주가 눈에 익숙해져야 하기 때문이다. 세세하게 연구하고 연구해야겠지만 그것은 나중의 일이다. 사주를 적지도 보지도 못하는데 깊은 이론 또 그것의 옳고 그름은 나중일이다.
일단 이 지장간은 외워야 한다. 지장간은 사주 주인공이 가지는 힘의 세기를 판별할 수도 있고 인간사에 있어서 다양한 일들을 나타내기도 한다. 표를 만들어 두고 사주를 볼 때 같이 봐야 한다. 지장간 외우기가 힘들다. 글자는 다 아는 글자인데 이상하게 힘들다.
처음 사주를 공부할때는 무조건 표를 만들어라 그리고 하나하나 비교해 가면서 눈에 익숙해져야 한다. 천간표 지지표 지장간표 합충표 육십갑자표 많은 것처럼 보이나 A4용지 한 장이면 충분하다. 두고 두고 써먹는다.
'사주기초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3-11강 사주의 기초(사주 세우기 눈에 익숙해 지기) (0) | 2023.03.10 |
---|---|
3-10강 사주의 기초(천간 지지의 음양배정 및 오행응용) (0) | 2023.03.05 |
3-8강 사주의 기초(천간 지지의 충) (0) | 2023.03.04 |
3-7강 사주의 기초(천간 지지의 합) (0) | 2023.03.02 |
3-6강 사주의 기초(만세력과 사주작성 대운수) (0) | 2023.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