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주기초강의

3-9강 사주의 기초(지장간)

by 진주사주 2023. 3. 5.
728x90
SMALL
 
여기 10 9 7 10 9 7 10 9 7 10 9 7
중기   3 7   3 7 9 3 7   3 7
정기 20 18 16 20 18 16 11 18 16 20 18 16

 

지지의 속에는 천간 壬 癸가 들어있다.

지지의 속에는 천간 癸辛己가 들어있다.

지지의 속에는 천간 戊丙甲이 들어있다.

지지의 속에는 천간 甲 乙이 들어있다.

지지의 속에는 천간 乙癸戊가 들어있다.

지지의 속에는 천간 戊庚丙이 들어있다.

지지의 속에는 천간 丙己丁이 들어있다.

지지의 속에는 천간 丁乙己가 들어있다.

지지의 중에는 천간 戊壬庚이 들어있다.

지지의 중에는 천간 庚 辛이 들어있다.

지지의 중에는 천간 辛丁戊가 들어있다.

지지의 중에는 천간 戊甲壬이 들어있다.

 

표에서 여기(餘氣) 중기(中氣) 정기(正氣 본기라고도 한다.)가 있고 또 숫자가 있다. 여기는 말 그대로 남은 기운이라 전 달의 기운이 아직 남아있다고 보는 것이고 중기는 말 그대로 중간의 기운(없는 것도 있다.) 정기는 가장 큰 기운 이라고 생각하자. 고민할 필요는 없다. 그리고 숫자는 한달 30을 기준해서 를 보면 지장간의 기운 이 먼저 10일 동안 영향력을 행사하고 그다음20일을 가 영향력을 행사한다고 생각하자.

 

세세한 이론은 기초를 배우는 분에게 추천하지 않는다. 어찌 되었던 우리는 사주가 눈에 익숙해져야 하기 때문이다. 세세하게 연구하고 연구해야겠지만 그것은 나중의 일이다. 사주를 적지도 보지도 못하는데 깊은 이론 또 그것의 옳고 그름은 나중일이다.

 

일단 이 지장간은 외워야 한다. 지장간은 사주 주인공이 가지는 힘의 세기를 판별할 수도 있고 인간사에 있어서 다양한 일들을 나타내기도 한다. 표를 만들어 두고 사주를 볼 때 같이 봐야 한다. 지장간 외우기가 힘들다. 글자는 다 아는 글자인데 이상하게 힘들다.

 

처음 사주를 공부할때는 무조건 표를 만들어라 그리고 하나하나 비교해 가면서 눈에 익숙해져야 한다. 천간표 지지표 지장간표 합충표 육십갑자표 많은 것처럼 보이나 A4용지 한 장이면 충분하다. 두고 두고 써먹는다.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