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주기초강의

3-6강 사주의 기초(만세력과 사주작성 대운수)

by 진주사주 2023. 3. 1.
728x90
SMALL

만세력을 보자. 2023년 양력 22일을 가지고 년 월 일을 써보면

 

壬寅年 癸丑月 辛卯日이 된다. 壬寅年에 기운을 받고 癸丑月 의 기운을 받고 辛卯일의 기운을 받아서 태어난 것이다. 이것은 운명을 풀이하기 위해 년 월 일 시의 순으로 나열한 것을 사주명식 사주팔자라고 한다.

 

일 월 년

辛 癸 壬

卯 丑 寅

 

2023년 양력 22일에 태어난 사람의 사주가 년 월 일로 표기하니 위와 같이 되는 것이다.

 

202325일을 보자. 그러면 癸卯年 甲寅月 甲午日이 되니까

일 월 년

甲 甲 癸

午 寅 卯

 

이렇게 된다. 같은 달에 태어나도 누구는 호랑이띠가 되고 누구는 토끼띠가 되는 것이다. 요즘은 양력 11일 새해가 되면 그 해의 간지로 보고 토끼띠 범띠 하는데 사주에서는 입춘을 기준으로 띠가 바뀐다.

 

마지막으로 시()에 대하여 알아보자. 옛날에는 하루는 12시진(時辰)으로 나누어서 썼다. 子時 丑時 寅時 이렇게 쓴 것이다. 한 지지에 두 시간을 배정하여 하루를 나누었다. 子時면 밤 11시부터 다음날 새벽 11시까지 두 시간이 한 시진이 되는 것이다. 여기서 문제가 발생한다. 우리나라의 기준시가 일본 동경시를 기준으로 쓰고 있기 때문이다.

 

지도를 보면 우리나라 기준으로 일본이 동쪽에 있다. 이 거리의 간격을 시간으로 보면 30분 차이가 난다. 즉 일본에서 해가 뜨는 시간이 시작하면 우리나라는 아직 캄캄하다는 것이다. 30분이 지나야 해가 뜬다. 지금쓰는 시간은 전통적 자시(子時)30분을 더해 써야 된다. 그러면 전통적 자시는 11시부터 1시라고 했으니 우리 시간으로 고치면 1130분부터 130분까지가 된다. 그런데 이것도 문제다.

 

29분과 30분의 차이

30분까지냐 29분까지냐 하는 것이다. 30분이면 그냥 다음 시간 즉 129분이면 자시. 130분이면 축시로 보면 된다.. 이것도 문제긴 하지만 그냥 그렇게 알고 넘어가자. 시간의 개념을 설명하려면 한도 끝도 없기 때문이다. 이 부분은 나중에 다루어 보자.

 

사주시간표

  子時 丑時 寅時 卯時 辰時 巳時 午時 未時 申時 酉時 戌時 亥時
  23:30
01:29
01:30
03:29
03:30
05:29
05:30
07:29
07:30
09:29
09:30
11:29
11:30
13:29
13:30
15:29
15:30
17:29
17:30
19:29
19:30
21:29
21:30
23:29
甲己日
乙庚日
丙辛日
丁壬日
戊癸日

 

표를 보면 甲己日0420분에 태어났다면 인시에 해당하고 천간은 이 되니 丙寅時가 된다. 만세력을 보고 자신이 태어난 날을 찾아서 이나 날에 태어났다면 寅時庚寅시가 된다. 이렇게 나머지도 찾아보면 된다.

 

요즘은 이렇게 일일이 만세력을 찾아서 사주를 적고 대운을 적고 안 한다.. 세상이 좋아져서 만세력 어플이나 프로그램등으로 생년월일시를 적어 넣으면 사주팔자가 툭 튀어나온다.. 얼마나 편한가 대운이며 세운이며 신살이며 등등 모든 것이 적혀 나오니 시간이 절약된다. 그래도 일단 어떤식인지 알아야 하니까 적어 본 것이다.

 

대운

대운(大運)은 월주(月柱)을 기준으로 따라 나오는데 사주의 주인의 10년간의 운을 말한다. 월주를 기준으로 따라 나오며 각 운이 10년을 사주 주인에게 영향을 미친다. 이 대운에는 순행과 역행이 있고 남녀가 다르다.

 

태어난 년간을 보고 월주를 기준해서 순행과 역행으로 가는데

남자는 양이면 월주가 순행으로 가고 음이면 역행으로 간다.

여자는 음이면 월주가 순행으로 가고 양이면 역행으로 간다.

 

아래 사주를 보자. 태어난 년의 천간을 보니 甲 이다. 甲은 양()이다. 여자는 년간(年干)이 양이면 역행이라고 했다. 월주를 보자. 丙寅月에 태어났다. 역행이니 그전 육십갑자를 찾아보면 乙丑이 된다. 그 다음은 甲子 그 다음은 癸亥 이렇게 역행을 하는 것이다.

 

時柱 日柱 月柱 年柱

庚 戊 丙 甲 ()

申 子 寅 子

 

66 56 46 36 26 16 6

己 庚 辛 壬 癸 甲 乙 大

未 申 酉 戌 亥 子 丑 運

 

만약 이 사주가 남자라면? 은 양()이고 남자는 년간이 양이면 순행한다고 했으니 월을 보면 丙寅이고 순행 하면 丁卯 그 다음은 戊辰 己巳 이런 식으로 진행이 되는 것이다.

 

년간을 보고 양이면 남자는 순행 음이면 역행, 여자는 음이면 순행 양이면 역행이다.

 

다음으로 대운을 보면 숫자가 쓰여 있다. 저것은 대운수라고 하는데 6乙丑이면 6살부터 다음 대운 전까지 즉 15세까지 乙丑이라는 대운이 사주 주인공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소리다. 16세가 되면 乙丑대운은 끝이나고 甲子대운이 10년간 영향을 미친다. 그런데 이 대운도 논란이 많이 된다. 정확한 시간 구분 또는 월의 구분 혹은 대운 바뀌는 시기의 운등등 이다.

 

대운이 교체하는 시기에는 필자가 많이 보는것인데 혼란스러운 경우가 많더라. 위 사주로 보면 15세 까지인데 16세가 되면 甲子대운으로 바뀐다. 이 바뀌는 시기 즉 15-16세 사이에 사건사고가 많이 일어나고 혼란스러운 경우가 많다. 일단은 대운이 나오는 방법부터 알면 된다.

 

그러면 대운의 숫자는 어떻게 정하는가? 사람마다 다르다. 그리고 책의 만세력을 보면 남녀 할 것 없이 대운이 계산되어서 나오고 요즘 프로그램은 시차 위도 경도 신살 등등 아주 자세하게 계산되어 나온다. 그러니 계산하는 법만 알고 넘어가자. 어차피 나중에 계산 안한다. 컴퓨터로 다한다.

 

일단 대운수의 작성은 절기를 알아야 한다. 절기와 절기 사이의 날짜를 계산하기 때문이다.

 

양남음녀는 순행. 음남양녀는 역행으로 자신이 태어난 날을 제외 혹은 포함하고 다음 절기 혹은 이전 절기까지 날짜수를 센다. 자신이 태어난 날을 포함하여 날짜를 세어가면 절기의 날은 뺀다. 자신이 태어난 날을 제외하고 세어간다면 절기까지 포함시킨다.

 

세어진 날짜수를 3으로 나누고 딱맞아 떨어지면 그대로 그 수를 대운으로 적는다.

절기까지 세어 가서 날짜수가 12일 일 때 3으로 나누면 4가 된다. 그러면 대운수가 4가 된다.

절기까지 세어 가서 날짜수가 15일 일 때 3으로 나누면 5가 된다. 그러면 대운수가 5가 된다.

절기까지 세어 가서 날짜수가 18일 일 때 3으로 나누면 6이 된다. 그러면 대운수가 6이 된다.

3으로 나누어 딱 맞아 떨어지면 그 수가 대운수가 된다.

 

세어진 날짜수를 3으로 나누고 0이나 1이 남으면 버린다. 나머지가 23으로 나눈 몫에 1을 더한다.

 

절기까지 세어 가서 날짜수가 13일 때 3으로 나누면 4가 몫이 되고 나머지는 1이 된다.

나머지가 0 또는 1이면 버리고 그 몫만 취한다. 그러면 대운수가 4가 된다.

 

절기까지 세어 가서 날짜수가 14일 때 3으로 나누면 4가 몫이 되고 나머지는 2가 된다.

나머지가 2가 되면 나눈 몫에 1을 더하니 4+1=5가 되므로 대운수가 5가 된다.

 

1942년 양력 121002:00 여성일 때

時  日   月   年

辛   丁   壬   壬    ()

丑   酉   子   午

 

61 51 41 31 21 11 1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大

巳 午 未 申  酉  戌 亥     運

 

이 여성의 경우 년간을 보니 으로 양이다. 양남음녀는 순행 음남양녀는 역행한다고 했다. 태어난 천간 즉 년을 보니 으로 양이다. 그러면 대운은 역행한다. 월주를 기준으로 적어보면 壬子 이전은 辛亥가 된다. 다음은 庚戌 그다음은 己酉 이렇게 적어 가는 것이다.

 

만세력을 보자. 1942년 양력 1210 이라고 했으니 찾아보면

 

128(대설) 乙未日

129丙申日

1210丁酉日

1211戊戌日

1212己亥日

1213庚子日

 

이렇게 된다. 이 여성은 역행 운이니 태어난 날부터 대설까지 10  9  8 인데 태어난 날을 포함해서 세었으니 대설 날짜 하루는 버린다. 그러면 10 92가 된다. 3으로 나누면 몫은 0 나머지는 2가 되는데 2면 몫에 1을 더한다고 했으니 0+1=1이 되므로 대운수는 1이 된다.

 

태어난 날을 제외하고 절기 까지 세어가면 9 8일 이 된다.태어난 날을 포함하지 않았으니 절기 하루는 포함한다. 역시 2가 되니 3으로 나누면 몫은 0 나머지는 2가 되고 2면 몫 01을 더해서 0+1=1이 되므로 대운수는 1이 된다.

 

태어난 날부터 세면 절기 하루는 빼고 태어난 날을 제외하고 세면 절기 하루를 포함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절기 까지를 세는 것이지 중기를 세는 것이 아니다. 1(寅月)에는 절기(立春)과 중기(雨水)가 있는데 우수는 제외하고 절기만 취한다. 나머지 달도 같다.

 

1213일에 태어났다면 13 12 11 10 9 까지 인데 생일 포함하면 대설 하루는 버리고 5일이 된다. 생일을 제외하고 세어간다면12 11 10 9 8(대설) 대설 하루 까지 포함하여 5일이 된다.

53으로 나누면 몫은 1이고 나머지는 2가 된다. 나머지가 2면 몫에다가 1을 더한다고 했으니 1+1=2 즉 대운수는 2가 된다.

 

몫이 0이고 나머지가 1이면 1은 버리고 그냥 대운수 1로 본다.

몫이 0이고 나머지가 22는 몫에 1을 더하니 0+1=1 대운수 1

몫이 1이고 나머지가 0이면 몫만 취해서 대운수 1

몫이 1이고 나머지가 1이면 나머지 1은 버리고 몫 1만 취해서 대운수 1

몫이 1이고 나머지가 2이면 나머지 2는 몫에 1을 더하니까 1+1=2 대운수 2

몫이 10이고 나머지가 1이면 나머지 1은 버리고 몫만 취해서 대운수 10

 

 

조금더 복잡하게 가면 시간까지도 계산되어 12시간 이상이면 하루를 포함시키고 12시간 이하면 하루를 제외하는 식이다.

 

대운수 계산하는 것이 이런 거구나 하고 넘어가자. 어차피 우리는 전부 핸드폰이나 컴퓨터의 만세력으로 본다. 요즘 철학관에서 누가 일일이 만세력 책을 뒤져서 대운수 계산하나? 편하게 살자. 만세력 어플도 많고 무료 어플도 많다.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