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의 득령(得令) 득지(得地) 득세(得勢) 실령(失令) 실지(失地) 실세(失勢)
득령이란 일간을 기준으로 해서 월지가 비견 겁재와 정인 편인일 때를 말한다. 비겁과 인수는 일간을 강하게 만들어 주는 요소다. 각 지지마다 힘의 분배가 다른데 월지는 다른 지지 보다 그 힘이 세배정도 더 강하다. 힘의 크기는 월지>일지>시지>년지의 순이다.
그래서 뭐? 어쩌라고?
일간이 강한 사주 즉 신강한 사주는 식상 재성 관성을 받아들일 수 있다고 하였다. 식 재 관을 수단과 방법으로 활용하여 자신이 살아가는 환경을 만들고 또 적응하게 된다. 그러려면 일간이 강해져야 하겠는데 자신이 강해지는 요소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이 바로 이 월지가 되는 것이다.
일간이 약한 사주 즉 신약한 사주는 식상 재성 관성을 받아들이기에 부담이 있기 때문에 신강한 사주와는 반대의 요소 즉 비겁과 인성을 수단과 방법으로 활용하여 자신이 살아가는 환경을 만들고 또 적응하여 살아야가 하는 것이 된다. 만약 비겁과 인성으로 환경을 만들지 못한다면 사회에 부적응이 되고 살아가는데 힘이 드는 것이다.
주의해야 할 것은 월지를 얻었다. 즉 득령 하였다는 한 가지만으로 사주가 강해지는 것은 아니다. 월지는 그 힘이 다른 지지보다 크다는 것이지 월지만 얻었다고 신강한 사주가 되는 것은 아니니 주의해야 한다.
득령의 예)
◎甲◎◎ ◎丙◎◎ ◎戊◎◎ ◎庚◎◎ ◎壬◎◎
◎◎寅◎ ◎◎午◎ ◎◎戌◎ ◎◎酉◎ ◎◎子◎
甲乙木이 월지가 寅卯月 또는 子亥月 이면 득령
丙丁火가 월지가 巳午月 또는 寅卯月 이면 득령
戊己土가 월지가 巳午月 또는 辰戌丑未月 이면 득령
庚辛金이 월지가 申酉月 또는 辰戌丑未月 이면 득령
壬癸水가 월지가 亥子月 또는 申酉月 이면 득령
여기서 좀 더 자세히 보면 木은 봄이 자신의 비겁이 된다. 寅月 卯月 辰月이다. 비겁이 되는 계절이면 때를 얻은 것으로 득령인데 왜 辰은 빠졌을까? 갑을목 입장에서 辰은 재성에 해당이 된다. 재성은 자신의 힘을 빼는 역할을 한다. 봄이라도 내 힘을 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辰이 득령과 비슷한 역할을 할 때도 있다. 이는 辰이 봄이기도 하지만 辰에 들어있는 지장간의 역할 때문이기도 하며 더해서 합으로 인하여 辰의 고유성질이 변할수도 있기 때문이다. 木뿐 아니라 나머지 오행도 계절의 끝은 辰戌丑未月이 된다. 이 부분은 다음에 다시 다루겠다.
정리하자면 득령이란 일간을 기준으로 태어난 달 즉 월지에 비견 겁재 정인 편인이 되는 것을 말하며 득령 하면(월지를 얻으면) 일단 신강해 질 수 있는 요건에 해당이 된다.
실령(失令)은 득령과 반대로 실(失) 즉 잃었다. 때를 얻지 못했다는 뜻이다. 월지가 식상 재성 관성에 해당한다.
실령의 예)
◎ 乙 ◎ ◎ ◎ 丁 ◎ ◎ ◎ 己 ◎ ◎ ◎ 辛 ◎ ◎ ◎ 癸 ◎ ◎
◎ ◎ 申 ◎ ◎ ◎ 子 ◎ ◎ ◎ 卯 ◎ ◎ ◎ 午 ◎ ◎ ◎ 未 ◎
득지(得地)란 일간이 앉은자리에 비겁 또는 인수가 있을 때를 말한다. 반대는 실지(失地)가 된다.
득지의 예)
◎ 甲 ◎ ◎ ◎ 丙 ◎ ◎ ◎ 戊 ◎ ◎ ◎ 庚 ◎ ◎ ◎ 壬 ◎ ◎
◎ 寅 ◎ ◎ ◎ 寅 ◎ ◎ ◎ 戌 ◎ ◎ ◎ 申 ◎ ◎ ◎ 子 ◎ ◎
실지의 예)
◎ 乙 ◎ ◎ ◎ 丁 ◎ ◎ ◎ 己 ◎ ◎ ◎ 辛 ◎ ◎ ◎ 癸 ◎ ◎
◎ 酉 ◎ ◎ ◎ 酉 ◎ ◎ ◎ 卯 ◎ ◎ ◎ 卯 ◎ ◎ ◎ 未 ◎ ◎
득세(得勢)는 천간 지지에 비겁 인수가 많을 때 해당한다. 반대는 실세(失勢)가 된다. 보통은 일간 월지 일지를 제외한 나머지 천간 지지를 말하고는 하는데 정확히는 일간을 기준으로 다른 천간지지에 비겁 또는 인수가 가득한 것을 말한다. 월지 일지를 제외하고 세력을 보는 것을 월지 일지에서 얻는 힘이 강한데 이 두 곳에서 힘을 얻지 못하였을 때 세력으로써 힘을 얻었는가 보는 것이다.
득세의 예)
丁 戊 丁 丁 己 戊 丁 丁 丁 辛 丁 辛
巳 ◎ ◎ 未 未 ◎ 未 未 酉 亥 酉 未
실세의 예)
戊 甲 己 己 丁 甲 己 己 戊 丁 己 癸
辰 ◎ ◎ 巳 卯 午 巳 巳 申 ◎ 未 丑
일간을 기준으로 득령 득지 득세를 보았는데 사주를 풀이할 때는 일간의 제외한 나머지 천간도 각각 그 힘의 크기를 가늠하여 보아야 하는데 일간과 마찬가지로 월지 일지 시지 년지 그리고 다른 천간의 상황도 같이 대입하여 힘의 크기를 보아야 한다. 그러나 가장 우선시되어 살펴보아야 하는 것은 일간 위주로 그 힘의 강약을 먼저 설정하고 난 연후에 다른 간지의 힘을 살펴보는 것이다.
'사주기초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5강 사주의 왕쇠강약(旺衰强弱) (0) | 2023.04.03 |
---|---|
4-10강 육친(六親) 십신(十神)중 편인(偏印) (0) | 2023.04.02 |
4-9강 육친(六親) 십신(十神)중 정인(正印) (0) | 2023.04.02 |
4-8강 육친(六親) 십신(十神)중 편관(偏官) (0) | 2023.04.01 |
4-7강 육친(六親) 십신(十神)중 정관(正官) (0) | 2023.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