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친(六親)이란 태어난 일간(자기 자신)을 중심으로 보는 혈연관계를 말한다. 즉 부모 형제자매 배우자 자식을 뜻한다. 나와 가장 이해관계가 밀접하기 때문에 사주풀이에 중요한 부분이다.
십신(十神)은 일간을 기준으로 오행을 음양의 관계로 나눈 것이다. 오행은 다섯에 음양으로 다시 나누니 모두 10종이 된다. 그 명칭은 비견(比肩), 겁재(劫災), 식신(食神), 상관(傷官), 편재(偏財), 정재(正財), 편관(偏官), 정관(正官), 편인(偏印), 정인(正印)을 말한다.
주의할 점은 지지 중에 巳와 午 그리고 亥와 子는 서로 음양을 바꾸어서 사용해야 한다.
子 | 丑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양 | 음 | 양 | 음 | 양 | 음 | 양 | 음 | 양 | 음 | 양 | 음 |
음 | 음 | 양 | 음 | 양 | 양 | 음 | 음 | 양 | 음 | 양 | 양 |
위와 같이 원래 子는 양이지만 쓸때는 음으로 바꾼다. 亥도 음이나 양으로 바꾼다.
巳는 원래 음이지만 쓸 때는 양으로 바꾼다. 午도 양이나 음으로 바꾼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왜 음양을 특정 지지만 바꿔서 사용해야 하는지 의견이 분분하다. 어느 것이 정확한지 알 수 없다. 지금까지 그렇게 쓰고 있고 모두 사용하고 있다는 것만 알아두자.
비견(比肩)
태어난 일간을 기준하여 동일한 오행 및 동일한 음양이다.
甲(양) 일간 이면 甲이 비견이며 지지 寅(양)이 비견이다.
乙(음) 일간 이면 乙이 비견이며 지지 卯(음)가 비견이다.
丙(양) 일간 이면 丙이 비견이며 지지 巳(양)가 비견이다.(巳는 음이나 양으로 쓴다.)
丁(음) 일간 이면 丁이 비견이며 지지 午(음)가 비견이다.(午는 양이나 음으로 쓴다.)
戊(양) 일간 이면 戊가 비견이며 지지 辰과 戌이 비견이다.(土의 지지는 하나씩 더 있다.)
기(음) 일간 이면 己가 비견이며 지지 丑과 未가 비견이다.
庚(양) 일간 이면 庚이 비견이며 지지 申(양)이 비견이다.
辛(음) 일간 이면 辛이 비견이며 지지 酉(음)이 비견이다.
壬(양) 일간 이면 壬이 비견이며 지지 亥(양)이 비견이다.(亥는 음이나 양으로 쓴다.)
계(음) 일간 이면 癸가 비견이며 지지 子(음)가 비견이다.(子는 양이나 음으로 쓴다.)
시 일 월 년
甲 戊 戊 甲
寅 寅 辰 戌
위 사주를 보자. 자신이 태어난 날 즉 일간을 보면 戊土다. 戊土는 양이다. 월간을 보면 나와 같은 戊土가 있다. 그러면 월간이 비견이 된다.
지지를 보면 辰도 양의 土 戌도 양의 土다. 그러면 월지도 비견 년지도 비견이 된다.
나머지 오행도 모두 위와 같다. 년주 월주 일지 시주에 어디에 있든 간에 일간과 오행 및 음양이 같으면 비견이 되는 것이다. 이것은 지장간 세운(한 해의 운) 또는 대운에서도 마찬 가지다.
천간 십신 도표
비견 | 겁재 | 식신 | 상관 | 편재 | 정재 | 편관 | 정관 | 편인 | 정인 | |
甲 |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乙 | 乙 | 甲 | 丁 | 丙 | 己 | 戊 | 辛 | 庚 | 癸 | 壬 |
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甲 | 乙 |
丁 | 丁 | 丙 | 己 | 戊 | 辛 | 庚 | 癸 | 壬 | 乙 | 甲 |
戊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甲 | 乙 | 丙 | 丁 |
己 | 己 | 戊 | 辛 | 庚 | 癸 | 壬 | 乙 | 甲 | 丁 | 丙 |
庚 | 庚 | 辛 | 壬 | 癸 |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辛 | 辛 | 庚 | 癸 | 壬 | 乙 | 甲 | 丁 | 丙 | 己 | 戊 |
壬 | 壬 | 癸 |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癸 | 癸 | 壬 | 乙 | 甲 | 丁 | 丙 | 己 | 戊 | 辛 | 庚 |
지지 십신 도표
비견 | 겁재 | 식신 | 상관 | 편재 | 정재 | 편관 | 정관 | 편인 | 정인 | |
甲 | 寅 | 卯 | 巳 | 午 | 辰戌 | 丑未 | 申 | 酉 | 亥 | 子 |
乙 | 卯 | 寅 | 午 | 巳 | 丑未 | 辰戌 | 酉 | 申 | 子 | 亥 |
丙 | 巳 | 午 | 辰戌 | 丑未 | 申 | 酉 | 亥 | 子 | 寅 | 卯 |
丁 | 午 | 巳 | 丑未 | 辰戌 | 酉 | 申 | 子 | 亥 | 卯 | 寅 |
戊 | 辰戌 | 丑未 | 申 | 酉 | 亥 | 子 | 寅 | 卯 | 巳 | 午 |
己 | 丑未 | 辰戌 | 酉 | 申 | 子 | 亥 | 卯 | 寅 | 午 | 巳 |
庚 | 申 | 酉 | 亥 | 子 | 寅 | 卯 | 巳 | 午 | 辰戌 | 丑未 |
辛 | 酉 | 申 | 子 | 亥 | 卯 | 寅 | 午 | 巳 | 丑未 | 辰戌 |
壬 | 亥 | 子 | 寅 | 卯 | 巳 | 午 | 辰戌 | 丑未 | 申 | 酉 |
癸 | 子 | 亥 | 卯 | 寅 | 午 | 巳 | 丑未 | 辰戌 | 酉 | 申 |
십신 중 비견의 풀이
일간을 기준으로 나와 음양과 오행이 같으면 비견이다. 나의 분신이 되기도 하니 나의 힘을 강하게 만든다. 나와 같은 성질의 것이니 친구 형제자매 경쟁 동료 동업의 성질을 지닌다.
일간은 홀로 다른 십신을 상대해야 하니 고독하다. 강인함 고집등의 성질을 지닌다. 사주가 강한데 비견이 있다면 더욱더 자신 위주로 살아가는 경향이 있다.
사주에 비겁이 많으면 자신의 주장을 끝가지 관철 시키려고 하는 성질이 나타난다. 주위와 화목하게 지내려 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오해를 받기도 한다.
여기서 사주의 강약이라는 것이 있는데 일간을 기준으로 인성(정인 편인)과 비겁(비견 겁재)는 일간을 강하게 만든다.
일간을 약하게 만드는 십신은 인성과 비겁을 제외한 나머지 재성(정재 편재) 관성(정관 편관) 식상(식신 상관)이다.
사주에 많다는 것은 사주 8글자 중 3개 이상이면 많다고 본다.(일간이 포함될 수도 있다.)
사주가 약해서 비견이 도움이 된다면 사회생활에 있어서 두루 잘 지내게 되며 화목하게 되며 진취적 발전적으로 나아간다. 더해서 형제자매와도 원만하게 지내게 된다. 따라서 형제 친구와 동업을 하는 경우가 많다. 혹 형제 친구의 도움으로 살아가게도 된다.
사주가 약해서 비견이 도움이 되는데 형제가 망하면 자신도 따라 망하는 경우가 많다.
비견의 운이 오면 새로운 사업을 꿈꾸게 되며 투자를 하기도 한다. 또는 움직이지 않더라도 뭔가를 새로 시작해 보고 싶은 욕망이 생기게 된다.
비견운이 오면 자신의 힘이 강해지기 때문에 다른 상대와 말다툼 시비 구설등이 올 수 있다. 또한 부부운에서 말싸움은 피할 수 없다. 여성이 사주가 약한데 비견운이 오면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부부불화 말다툼등으로 심리적 고통을 당할 수가 있으며 심하면 별거 이혼까지 간다.
이 말은 약하다고 해서 비견운이 오면 무조건 좋다고 할 수가 없는 것이다. 모든 것은 사주의 짜임새와 대운 세운의 관계를 보고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정리하자면 비견은 사주의 신강 신약을 불문하고 형제 친구 회사동기 새로운 일 투자 대항 반항 고집 시비 구설 이사 변동 도둑 강도 부부이별 등의 의미가 있다.
'사주기초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4-3강 육친(六親) 십신(十神)중 식신(食神) (0) | 2023.03.30 |
---|---|
4-2강 육친(六親) 십신(十神)중 겁재(劫財) (0) | 2023.03.28 |
3-11강 사주의 기초(사주 세우기 눈에 익숙해 지기) (0) | 2023.03.10 |
3-10강 사주의 기초(천간 지지의 음양배정 및 오행응용) (0) | 2023.03.05 |
3-9강 사주의 기초(지장간) (0) | 2023.03.05 |